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제는 마시는 물도 명품시대입니다.<br> <br>해외에선 단순히 수분 보충을 넘어 물의 맛과 효능까지 신경 쓴 고급 생수 브랜드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.<br><br>한 병에 수십만 원을 호가합니다.<br> <br>세계를보다, 김용성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그리스 아테네에 모인 심사위원들, 천연 탄산수를 받아 맛을 보고 점수를 매깁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깨끗하고 신선한 것 같아요. 좋은 것 같습니다." <br> <br>물맛을 감별하는 ‘워터 소믈리에’들이 세계 각지의 물을 평가하는 시음 대회입니다.<br><br>이들이 평가하는 것은 자연산 물 이른바 '파인워터'입니다.<br> <br>[마이클 마스카 / 파인워터소사이어티 협회장] <br>"땅에 떨어진 빗물은 길게는 수천 년 여정을 떠납니다. (이 여정이) 물을 특별하게 만듭니다. 와인처럼 물에도 '테루아(재배 환경)'가 있는 겁니다." <br> <br>갈증 해소 수단을 넘어 맛까지 고려한 물에 대한 수요가 세계적으로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별한 취수원을 앞세운 고가의 물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북대서양 빙하를 채집해 녹여 만든 캐나다 생수는 750ml 한 병에 4만5000원, 아마존 밀림의 물안개를 모았다는 브라질 생수는 <br>한 병에 20만원에 달할 정도로 비쌉니다. <br> <br>온라인에서도 시음회나 품평회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[미국 SNS 방송인 (캐나다 제품 시음)] <br>"오, 맛은 정말 괜찮네요, 그런데 한 모금에 1달러라고 생각하니 (가성비가 좋은지는) 잘 모르겠네요.“ <br><br>물맛은 물 속 미네랄 양과 산성도에 따라 달라지는데, 산성에 가까울수록 신맛, 알칼리성이면 쓴맛이 납니다.<br> <br>미네랄이 많으면 물 특유의 맛이 더 강해집니다.<br><br>[마이클 마스카 / 파인워터소사이어티 협회장] <br>"땅 속에 수천 년 간 있으면서 미네랄을 많이 함유한 겁니다." <br> <br>실제 맛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지 유명 물 소믈리에의 추천을 받은 제품을 직접 마셔 봤습니다. <br><br>슬로베니아의 샘물에서 채취한 물입니다. 1병에 4만 원 정도로 비싼데요. 마그네슘이 보통 생수보다 최대 1000배 정도 함유돼 있습니다. 산성에 가까워 조금 신 맛이 납니다"<br> <br>너무 비싸 일각에서는 회의론도 나옵니다. <br> <br>[이현준/ 한국워터소믈리에협회 총괄이사] <br>"(물은) 쉽게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 하고요, 굳이 고가를 들여가면서 (소비)해야 한다는 것까진 아직 안 받아들여지는 것 같습니다." <br><br>그럼에도 현재 26조 원 규모인 세계 고급 생수 시장 규모는 2030년대 들어 2배로 커질 전망입니다.<br><br>마케팅 전문 업체들도 건강과 특별함을 추구하려는 세계 소비자들이 고급 생수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<br> <br>세계를 보다 김용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기열 <br>영상편집: 석동은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